삼성융합의과학원

게시글 검색
전체
강단비 사진 more
  • 조교수
  • 강단비
김정훈 사진 more
  • 부교수 분자세포생물학
  • 김정훈

[관심분야]

전사인자와 coregulators (coactivators & corepressors)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 조절자들로서 발생, 성장, 분화 등 정상 세포의 생리활성 유지뿐만 아니라 암 발생 및 진행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 본 연구실은 다양한 분자세포생물학 (molecular cell biology), 생화학 (biochemistry), 후성유전학 (epigenetics)적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coregulators를 발굴 및 동정하고 암 발생과 진행에 관련된 그들의 작용 기전 및 임상적 의의를 크로마틴 구조변화 (chromatin remodeling), 단백질 변형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새로운 전사조절 coregulator pathway등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삼고 있음. 이와 같은 연구는 유전자 발현조절에 대한 분자 기전의 이해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 및 병태생리 기전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또한 질병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표적으로서 신약개발에 적극 활용되고 있음.

김한나 사진 more
  • 조교수
  • 김한나
  • 02-3410-2427
김현호 사진 more
  • 부교수 유전자발현조절
  • 김현호

[관심분야]

본 연구실은 전사후단계에서의 유전자의 발현조절을 연구주제로 한다. 유전자의 발현은 크게 전사단계에서의 조절과 전사후단계에서의 조절로 나눌 수 있다. 전사후단계에서의 유전자의 발현조절은 RNA에 결합하는 RNA 결합단백질과 microRNA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실에서는 RNA 결합단백질과 microRNA에 의한 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연구한다. 특히 암의 발생과 전이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과 microRNA의 조절 기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들의 최종목표는 전사후단계에서의 암 관련 유전자의 발현조절 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새로운 암 치료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류규하 사진 more
  • 교수 의용생체공학
  • 류규하
원홍희 사진 more
  • 부교수 유전체학, 생물정보학
  • 원홍희
    Lab 유전체 및 디지털헬스 연구실

[관심분야]

본 연구실은 생물정보학, 통계학, 기계학습 등의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대규모 유전체 데이터와 EMR로부터 추출한 임상 데이터를 연계하여 다양한 인간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 변이 및 유전자를 발굴함. 또한, 환자의 유전 프로파일 및 건강 프로파일을 통합하여 질병을 조기에 탐지하고, 예방하며, 맞춤화된 치료를 제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함. 본 연구실은 유전체학, 생물정보학, 데이터분석 분야에서 Natur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JAMA, JACC, Eur Heart J, Nature Genetics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고, 80편 이상의 국제논문을 출판함.

유광선 사진 more
  • 조교수
  • 유광선 홈페이지 바로가기
유해용 사진 more
  • 부교수 분자세포생물학
  • 유해용

[관심분야]

본 연구실의 주된 관심사는 유전자에 손상이 생겼을 때 세포 내 반응기작을 분자생물학, 생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밝히는 것이다. 세포는 DNA를 완벽하게 복제하여 유전정보를 다음세대로 전달해주어야 하는데, 세포가 내외부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유전자 손상 (DNA damage)이 생기면 세포에는 이를 인지해서 세포분열을 정지시키는 시스템이 존재하는데 이를 유전자손상 신호전달 (DNA damage checkpoint)이라고 한다. 세포에서 유전자손상 신호전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면 세포는 방사선,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암세포가 된다. 따라서 세포에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세포의 방어 메카니즘을 이해하게 되면 이것이 잘못됐을 때 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실에서는 악성림포마의 발생원인 및 약제 내성 원인유전자를 찾고 기전을 연구하고 있다. 따라서 유전자손상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이들 단백질의 작용기작 및 림포마 원인 유전자에 대한 새로운 이해들은 세포분열 조절과 암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며 암 등과 관련된 질환을 정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윤엽 사진 more
  • 교수 분자종양학
  • 윤엽

[관심분야]

최근 다양한 항암 치료제의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수의 암종의 환자에 있어 치료 경과는 여전히 다양한 반응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반응율은 암세포의 이종성 (heterogeneity)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특히 최근의 개발중인 항암 치료제 중 표적치료제 (targeted therapeutics)의 경우 전체 환자 중 일부의 환자에게서만 긍정적 효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환자군으로부터 특정 치료제의 치료 성적이 나타날 것으로 여겨지는 일부 환자 그룹을 전향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개발은 이러한 맞춤 치료제의 개발 및 임상 적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실은 항암 맞춤 치료제의 다양한 타깃을 대상으로 항암 맞춤 치료제의 개인별 임상 시험 적용 및 및 동반 진단 (companion diagnostics)에 적합한 고유 항체의 연구 개발 및 임상적 적용을 목표로 한다. 이에 해당하는 주 연구분야로는 1). 동반 진단 및 치료제 후보 고감도 항체의 연구 개발 2). 후보 항체의 분자적 기능 규명 3). 임상적 검증 4). 분자 세포학적 작용기전의 규명 등을 주 분야로 설정하고 있다.

이지은 사진 more
  • 부교수 분자의학유전체학
  • 이지은 홈페이지 바로가기

[관심분야]

최근 인간 유전체학 분야의 여러 기술들의 눈부신 발전으로 3-4일 안에 한 사람의 모든 유전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유전 정보를 통해 어떤 유전자의 이상으로 질병을 앓게 되었는지를 찾는 것은 더 이상 어려운 일은 아니게 되었다. 하지만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 개발을 위해선 그 유전자의 기능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 유전자를 통한 질병 메커니즘을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우리 연구실에서는 실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찾는 것 뿐 아니라 그 유전자의 기능을 밝힘으로써 질병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들을 수행한다. 특히 세포의 다양한 기능 및 조직 발생등에 관여 하여 실제 인간 질병과 밀접한 연관성을 제시하고 있는 세포 내 소기관인 원발성 섬모 (primary cilium)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i) primary cilium의 생성과 소멸을 조절하는 기전 규명, (ii) 암이나 신경질환에서의 primary cilium의 특이적 연관성 및 분자 기전 규명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 찾은 유전자나 관련 메커니즘을 타겟으로 한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iii) zebrafish를 이용하여 질병 모델을 만들어 임상 전 실험 및 치료약 테스트 등을 수행하고 있다.

장종욱 사진 more
  • 교수
  • 장종욱
정규환 사진 more
  • 조교수
  • 정규환

[관심분야]

인공지능, 의료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진단보조, 임상의사결정보조

조주희 사진 more
  • 교수 정신사회종양학
  • 조주희

[관심분야]

최근 질병의 진단, 치료 예방 또는 의약품 개발에의 응용 등 국내외 다양한 분야에서 임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기초 과학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개념, 지식이나 손상의 진단, 치료 및 예방 등을 임상에 적용하여 질병의 병인과 발병기전을 밝혀내는 중개임상연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중개 연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과학적이고 구체화된 연구 설계인데, 본인의 연구팀에서는 연구자들에게 임상연구설계에 관련된 연구방법론 교육을 제공하고 연구설계와 분석을 도와 주는 동시에 다양한 임상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본인의 연구팀에서는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 항암, 방사선 치료로 인한 피부 변화와 탈모를 조직학적으로 관찰-분석하고 그것이 환자들의 신체, 정신, 사회적 기능과 치료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유방암환자 외모변화 코호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외에도 신경과와 인지장애의 위험요소 규명연구, 차세대 유전체 사업단과 성격 유전체 연구, 강북코호트 연구 등를 수행하고 있다.

주윤정 사진 more
  • 조교수
  • 주윤정